확대 l 축소

소부장 수요-공급기업간 4개 협력사업, 첫번째 시범사업으로 승인되어 본격 추진

2024년까지 1,800억원 투자, 330명 이상 고용 창출 기대

산업통상자원부는 11.20(수) 개최된「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서 4개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사업이 최초로 승인되었다고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 협력사업은 지난 8.5일「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에서 제시된 기업간 협력모델*을 구체화한 사업들이다.

* ①협동 연구개발형, ②공급망 연계형, ③공동 투자형, ④공동 재고확보형

그간 관계부처 협의, 소재부품 전문위원회 검토 등을 거쳤으며, 국내 공급망 안정의 시급성과 수출규제 대응의 중요성 등을 감안하여 선도적으로 추진하기로 하였으며,앞으로 범부처차원에서 R&D, 금융, 규제완화 등 협력사업의 원활 하고 속도감있는 진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중점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에 승인된 4개 협력사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협력사업 대상은 반도체, 자동차, 전자.기기 등 소재부품장비 핵심전략품목*에 부합하는 품목이다.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8.5)에서 발표한 6대 분야 100대 핵심전략품목에 해당하는 기술품목으로, 4개 품목 모두 해외에서 전량 또는 90% 이상 의존하고 있어, 기술력 확보가 시급하다.

*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자.기기, 기계.금속, 기초화학

기술개발부터 양산단계까지 연구소-공급기업-수요기업 등이 모두 참여하여 공급망 완결형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협력사업의 예를 살펴보면,A연구소가 공급기업 B社에 소재 원천기술을 제공하고, B社가 주도하여 분말소재를 개발하여 C社에 공급하며, C社는 중간체를 제조하여 D社에 납품하는 구조로써 C社, D社가 성능평가 및 실증을 지원하는 한편, 기술개발 관련 피드백을 공급기업에 제공구체적인 기술개발 및 양산화 계획, 사업목표를 갖고 있으며 이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신규 투자.고용 효과가 뚜렷하다.

4개 협력사업은 ‘24년경까지 국내 수요의 20%~60%를 확보함으로써 연간 3,600억원 이상 매출 창출을 목표로 하며,‘19~‘24년까지 투자 1,800억원, 고용 330명 규모로 계획되어 있다.

정부는 경쟁력위원회가 승인한 4개 협력사업에 대해서범정부 차원에서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4개 협력사업 참여기업들이 요청한 R&D, 정책금융, 인력파견, 규제완화 등 정책건의에 대해 관계부처 및 전문위원회 검토를 거쳤으며,정부는 기업들의 요청사항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사업은 처음으로 시도하는 사업으로 향후 추진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개선 및 보완할 예정이다.

사업의 진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성과를 철저히 점검해 나가는 한편,협력사업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협력사업 추진 단계별로 수요기업의 참여 수준을 높여 나갈 것이다.

기술개발 이후 사업화 및 양산 단계에서 수요 기업이 성능 테스트, 양산 평가 등 개발 품목의 품질 확보에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 보완해 나간다.

협력사업 별 전담자를 지정하여 사업의 원활한 진행과 애로사항 적기 해소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성윤모 장관은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는 수요-공급기업 협력과 생태계 구축이 핵심”임을 강조하고

“이러한 의미에서 이번에 승인된 4개 협력사업은 첫번째 사례로 매우 중요하고, 계획대로 추진되어 소기의 성과를 거둘수 있도록 범정부차원에서 패키지 지원하고, 지속적이고 철저하게 이행점검하여 성과를 낼 것이라고 전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앞으로도 국내 기술력 확보와 건강한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해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중점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
<script async="" src="https://www.googletagmanager.com/gtag/js?id=UA-151182297-1"></script> <script> 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function gtag(){dataLayer.push(arguments);} gtag('js', new Date()); gtag('config', 'UA-151182297-1');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