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는 15일 오전 계명대 의양관에서 ‘동아시아 영토문제와 한.중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계명대학교 국경연구소(소장 이성환교수) 주관으로 개최된 이날 학술 대회는 한.중 학자들이 독도와 조어도(釣漁島)에 대한 연구의 공동 연 대 구축을 통해 독도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먼저 이성환 계명대 교수가‘한국의 영토 국경문제에 대한 시론’을 주제로 기조 발표에 나섰다.
이 교수는 “한국에서는 독도에 대한 일본의 영유권을 부정하는 재료 로서 ‘태정관지령’을 강조하고 있는데, 태정관지령과 불가분의 관 계에 있으며 국제법적 의미를 더 강하게 가지고 있는 ‘울릉도쟁계 합의’를 중요하게 취급하지 않는 것은 이상하다“며 “일본은 울릉도쟁계 합의에서 인정한 울릉도영유권에 대해서는 지금 까지 문제 제기를 한 적이 없고, 또 울릉도쟁계를 파기한 적도 없었 으므로 한국에서 이를 적극 어필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문철 중국 연태(烟台)대학교 교수는 “독도 문제에 관한 중국학자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 내에서 독도 연구는 미미하지만 한국 에 대해서‘동지적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조어도 분쟁에 대한 중 국 측 주장의 합리성을 입증하기 위해 독도 문제를 거론한 연구가 많았다”며 “제3국 학자와 국민을 상대로 3인칭적 차원에서 독도에 관 한 담론을 진행하는 것은 국제적 여론을 조성하고 국제사회에 한국 측 주장을 알리기 위한 중요한 작업이므로, 중국 학자들의 독도에 대 한 관심과 주목을 모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서장환 경북도 독도정책과장은 “오늘 학술대회는 한·중 학자가 각 국의 영토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동아시아의 영토정책 일반 화를 통해 독도문제 해결 방안 모색은 물론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 로 기대한다”며 “경북도는 이를 계기로 향후 일본의 영토주권 침해 행위에 적극 대 처하고 영토주권 논리 개발을 위한 연구사업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 가겠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