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올해 쌀 생산은 전년보다 12만 톤 감소하여 수급균형 수준보다 부족할 것으로 예상

2019년 쌀 생산량은 태풍 등에 의한 작황 악화로 374만 톤 수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2019년산 쌀 생산량은 전년(386만8천 톤)보다 약 12만4천 톤 감소한 374만4천 톤(11.12일 통계청 발표)으로 신곡 예상 수요량(380만톤 내외)을 감안 시, 약 6만 톤 수준의 공급 부족을 전망했다.

올해 벼 재배면적은 73만ha로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등으로 전년보다 약 8천ha 감소하였고, 벼 낟알이 익는 시기(등숙기)에 태풍.잦은 비로 인한 일조시간 감소 등의 기상 악화로 쌀 생산단수가 전년에 비해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10월 이후 하락했던 산지쌀값은 11월 5일에는 상승하였고, 조곡(벼) 가격 상승세를 감안하면 향후 쌀값 강세가 예상된다.

11월8일 기준, 공공비축미(35만톤) 및 민간유통업체 매입물량은 147만톤, 유통업체 매입물량은 138만톤 수준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쌀 시장 안정을 위해 2019년 쌀 소비량 조사 결과 및 가격 변동 등 쌀 수급.시장 동향을 지속 점검할 계획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
<script async="" src="https://www.googletagmanager.com/gtag/js?id=UA-151182297-1"></script> <script> 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function gtag(){dataLayer.push(arguments);} gtag('js', new Date()); gtag('config', 'UA-151182297-1');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