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시장 박남춘)가 1985년 12월 구월동 청사 개청 이래 34년 만에 시청 앞마당부터 시민에게 완전히 개방된 열린 청사 시대를 열었다.
차도와 담장에 둘러싸였던 시청사가 시민들에게 모습을 드러내고, 시멘트 블록을 걷어낸 시청 앞마당에는 누구나 산책하고 뛰어놀 수 있는 넓은 잔디밭과 피크닉 테이블, 벤치가 곳곳에 놓인 잔디마당이 조성됐다.
2002년 조성된 미래광장도 17년 만에 묵은 때를 벗고 시민들을 위한 도심 속 힐링공간으로 재탄생했다. 낡은 시설을 손보고, 휴게 시설 부족·도로로 인한 단절 등 그간 제기됐던 문제들을 개선해 시민들의 발길을 이끄는 산뜻한 모습으로 시민을 맞는다.
청사 앞마당에서 미래광장까지 길이 약 200m, 2만㎡ 면적에 조성된 인천시의 열린 광장 ‘인천애(愛)뜰’은 지난해 7월 취임한 박남춘 시장의 1호 지시사항으로 탄생했다.
인천시청사는 60년대 폭발적인 인구증가와 1981년 7월 직할시로 승격(인구 114만)되며 급속한 도시성장에 따라 1985년 중구 관동에서 지금 자리로 이전되었다.
1980년대 구월동은 도시계획 확장에 따라 구획정리사업이 진행되던 곳으로 축사와 무허가 건물, 과수원 등이 있는 한적한 교외지역이었다. 시청이 들어섰을 때 주변은 온통 허허벌판에, 시청 앞에 아스팔트가 깔린 넓은 공터가 만들어져 이곳은 관 주도의 각종 행사와 주차장, 가을에는 시민들이 벼를 말리는 공간으로 사용되곤 했다.